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가르치기4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교육 (질문) 최관희 님의 질문입니다.‘주꾸미, 자장면, 곰장어’교수님은 위의 낱말을 정확하게 발음하시나요??^^ 많은 이들이 ‘쭈꾸미, 짜장면, 꼼장어’라고 발음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저는 생각하는데요, 잘못된 발음인 것을 알면서도 이미 고착되어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잘못 발음하게 됩니다.당연히 짜장면으로 알고 있을 학생들에게 “그것은 한국인들이 틀리게 발음하는 것이니 당신들은 자장면이라 발음해야 한다.”고 가르쳐야 하는 건지, 아니면 둘 다 괜찮다고 해야 하는지... 정확한 건 ‘자장면’이지만 ‘짜장면’이라 발음해도 된다고 해야 하는지...궁금합니다.^^ (답변) 이것은 한국어 교실에서라면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이 괴리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런 질문으로 연결됩니다.저는 '주꾸미'보다는 [쭈꾸미]로, .. 2025. 1. 31.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은 사람이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자연스럽게 배우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대개 인간의 사고,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언어 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습득 과정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모국어 습득이고, 다른 하나는 제2언어 습득입니다.모국어 습득(First Language Acquisition)은 아기가 태어난 후 자신의 환경에서 접하는 언어를 자연스럽게 배우는 과정입니다. 이것은 생물학적 본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결합되어 진행됩니다. 주로, 부모나 가족, 또래 집단 등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집니다(자연스러운 환경). 언어가 다르더라도 대개 모든 아이들은 비슷한 단계를 거쳐 언어를 습득하게 됩니다(보편적 과정). 또한, 아이.. 2025. 1. 30.
중간 언어(interlanguage) 중간 언어(interlanguage)는 미국 언어학자인 세린커(Selinker)가 제안한 용어입니다. 목표 언어(target language; L2)와 학습자의 모국어(mother tongue; L1)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 형태로서, 목표 언어와 모국어와는 독립적인 것으로 이해됩니다. L2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 또는 단계에서 모국어와 목표 언어와는 독립적인 각 단계마다 자체적인 체계가 있다고 보는 것이죠.학습자의 모국어를 X라고 하고, 목표 언어를 Y라고 할 때, X에서 출발해서 Y로 진행할 때 그 중간의 언어 형태는 여러 단계의 체계를 갖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즉, X…>1…>2…>3…>…>…>Y에서 모국어 X에서 출발해 여러 단계 1,2,3…을 거쳐서 목표 언어인 Y에 도달하는데, 1,.. 2024. 11. 8.
연음(連音)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위험이'와 '일을' 같은 경우에 '이', '을'은 조사이기 때문에 연음됩니다.그러나 '집 위에', '우리집 옆에' 같은 경우 '위, 옆' 은 어휘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음되지 않습니다. - 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사실 발음해보면[지뷔에]라고 발음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까?가르쳐 주세요.  이 경우는 명사(자음)와 명사(모음)가 이어질 때의 경우에 해당됩니다.  명사에 모음으로 된 조사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와 의 결합, 즉 어휘 의미(낱말 뜻)를 가진 말과 어휘 의미를 가지지 않은 말이 연결될 때에는 그대로 연음이 됩니다.집 + 이 --> [지비], 사람 + 은 --> [사라믄]  그런데 와 가 연결될 때, 즉 뒤에 결합하는 말이.. 2024. 11. 3.